경제적인 공부의 기초를 찾다가 끄적여봅니다.
경제 공부의 기초를 다루기 위해서는 몇 가지 핵심 개념과 이론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수요와 공급: 수요와 공급은 경제에서 중요한 개념입니다. 수요는 소비자들이 특정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입하려는 의사 결정의 총합을 나타내며, 공급은 기업이 특정 상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의사 결정의 총합을 나타냅니다. 수요와 공급의 상호작용은 시장 가격과 수량을 결정합니다.
원자재 공부할때도 아주 중요하게 확인됩니다. wti, Ngaz, copper, Gold, Silver Corn
환율과 같이 보면 아주 좋습니다. 특히 원달러환율
수요와 공급곡선 고등학교때는 몰랐는데, 실제 투자를 해 보니 정말 끝없이 와 닿는 이론이네요.
상품의 가격과 수요량·공급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곡선.
가격이 오르면 수요량은 감소하고 공급량은 증가하며, 가격이 내리면 반대의 현상이 일어난다. 가격과 수요·공급량을 각각 수직, 수평으로 하는 직각 좌표에 이러한 현상을 표시하면, 가격-수요곡선은 우하향(右下向)하는데, 이를 도시(圖示)하면 다음과 같다. 보통 자유경쟁하에서 실제가격은 수요곡선과 공급곡선의 교점이 된다. 그런데 이것은 엄밀하게 말하면 가격이 오를 경우 소비의 변화를 드러내는 가격-소비 곡선으로 볼 수 있으며 부(富)와 다른 상품의 가격(價格), 선호(選好)가 변하지 않을 경우 한 상품의 가격과 그 가격에서의 소비량의 관계를 설명하는 곡선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수요-공급 곡선 [需要供給曲線, demand-supply curve] (교육학용어사전, 1995. 6. 29.,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 시장 구조: 시장 구조는 시장 내에서 기업들의 경쟁 수준과 시장 참가자들의 특성을 나타냅니다. 경쟁의 정도에 따라 시장 구조는 다양하게 나뉘며, 주요한 시장 구조로는 경쟁 시장, 독점 시장, 과점 시장 등이 있습니다.
독점시장 담배, 전력, 통신 등을 개인적으로 좋아하는데요. 17년을 해보니, 우리나라에선 그리 추천할 만한 종목은 아닌듯 싶어요. 적절한 시점에 들어간다면 은행보단 좋은 수익이 나지만 수익을 얻기까지가 괴롭습니다.
3. 생산과 생산 요소: 경제에서 생산은 재화와 서비스를 생산하는 활동을 말합니다. 생산 요소는 생산에 참여하는 요소로서 땅, 노동, 자본, 기술 등이 있습니다. 생산과 생산 요소의 효율적인 조합과 생산성은 경제 성장과 관련이 있습니다.
4. 경제 발전과 성장: 경제 발전은 경제의 생산력과 생활 수준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경제 성장은 경제 발전을 측정하는 방법 중 하나로, 국내총생산(GDP)의 증가를 나타냅니다.
5.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 인플레이션은 물가 수준이 상승하여 돈의 가치가 하락하는 경제 현상을 말하며, 디플레이션은 물가 수준이 하락하여 돈의 가치가 상승하는 경제 현상을 말합니다.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은 경제 안정을 위해 관리되어야 할 요소입니다.
요즘 물가를 잡기 위해 한국은행과 미국의 FOMC 연준에 금리를 올리고 있는데요. 금리와 아주 높은 연간관계가 있습니다.
6. 경제 정책: 경제 정책은 정부나 중앙은행 등이 경제의 성장, 안정 및 조절을 위해 채택하는 조치들을 의미합니다. 주요한 경제 정책으로는 통화 정책, 재정 정책, 금리 정책, 세제 정책 등이 있습니다.
기획재정부의 정책들을 체크하면 아주 좋습니다.
기획재정부
보도·참고자료
www.moef.go.kr
한국재정정보원도 국가에 대한 정보가 많네요.
한국재정정보원
재정활동 디지털 플랫폼‘디브레인(dBrain)’운영 공공기관
www.fis.kr
이러한 기초적인 경제 개념과 이론을 학습하면 경제에 대한 이해도를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경제 교과서나 온라인 강의를 통해 자세한 내용을 학습하고, 경제 관련 뉴스와 현상을 주시하며 실생활과의 연결점을 찾아보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경제공부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음 검색으로 RSI 간단 지표 검색 및 적용 (11) | 2023.07.17 |
---|---|
투자 초보의 회계에 대한 기초 (22) | 2023.07.10 |
제과에서 지주로 롯데지주 2편 (1) | 2023.06.29 |
제과에서 지주로 롯데지주 공부 (1) (3) | 2023.06.22 |
퀀트 투자 데이터 기반 투자 공부 (1) | 2023.06.19 |